보전과 매향리 갯벌: 탐조와 인터뷰 (1)

글: 드와잍 서울 캠퍼스 학생 & 작가. 안지수 Descobrindo espécies Keystone (ISBN 9791112046659)

2025 년 8 월 23 일 나는 서울에서 남서쪽 80km 에 위치한 경기도 화성시 매향리로 향했다. 니얼 무어스 박사님과 팀원은 주말동안 블루카본프로젝트 조사를 하고 있었다. 이 조사는 습지에 인공구조물이 바다철새의 서식행동에 서식행동에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었다. 무어스 박사님은 대부분의 쉼터에 있을때 탁트인 탁트인 시야를 확보할 수 있어야 한다고 설명하셨다. 하지만 빌딩과 구조물은 철새의 시야를 방해하고, 이러한 환경은 철새들이 특정 지역 (구조물 근처) 을 회피하게끔 했다. 구조물의 여파를 알아보기 위해 박사님 및 및 조사 참가원들은 조심스럽게 구조물과 각 철새종과의 거리를 측정했다.

매향리에는 가슴아픈 역사가 깃들어있다. 약 3.200 명의 마을 주민들이 논농사와 게, 굴, 그리고 여러 해산물을 채취하며 살아오다가, 1951 년 공군이 공군이 이 마을을 쿠니 사격장으로 지정한 뒤 삶은 바뀌었다 바뀌었다. 2005 년까지 주민들은 끊임없이 가혹한 제트기 소음에 시달려야 했고, 이로 인해 청력 손실, 가옥 파손, 심지어 가축 유산까지 발생했다.

처음 도착했을 때 매향항의 모습은 갯벌은 갯벌은 끝없이 펼쳐져 거의 텅 비어 있는듯했다. 이곳에 새가 있을 거라고는 상상도 할 수 없었다. 처음에 본 새라고는 머리 위를 맴도는 갈매기뿐이었다. 하지만 무어스 박사님이 망원경을 설치하고 나에게 손짓을 하자 모든 것이 달라졌다. 렌즈 속에서는 세계적 위기종인 알락꼬리마도요가 길고 길고 굽은 부리로 진흙탕에서 게를 파내고 있었다. 알락꼬리마도요는 생생한 모습으로 마치 바로 바로 앞에 서 있는 것처럼 진흙을 털어냈다. 그 감동의 순간에 갯벌과 야생 동물의 중요성을 실감하게 되었다. 바로 그때, 지나가는 트럭의 굉음이 그 소중한 순간을 깨뜨렸다. 날씨가 너무 더웠기에, 우리는 시원하고 그늘진 카페로 자리를 옮겨 인터뷰를 이어갔다.

보전과 매향리 갯벌: 탐조와 인터뷰 (1)
알락꼬리마도요를 관찰하는 니얼무어스 박사님, 베른하르트 셀리거 박사님과 나 © 최유나

다음은 무어스 박사님과의 인터뷰 내게 내게 강렬한 인상을 남긴 답변을 정리한 내용이다.

보전이란 무엇일까요?

무어스 박사는 보존 (Preserve) 은 “있는 그대로 보존하는 것” 을 의미하고, 보전 (conservar) 은 조치를 조치를 취해 자연을 근본적으로 바꾸지 않고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보전이란 지속 가능한 발전, 그리고 더 중요하게는 우리의 가치 체계를 바꾸는 것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있습니다. 제가 이끄는 단체인 새와 생명의 터 (Aves Coréia) 는 제출할 제출할 데이터를 수집할 뿐만 아니라, 인식을 제고하고 대중의 가치를 변화시키기 위해 노력하고있습니다. -> 나는 이 답변을 통해 보존 (Preservação) 과 보전 (Conservação) 의 차이와 그 의미를 깨닫게 되었다.

이 새들은 어떤 어려움에 직면할까요?

무어스 박사는 어린 시절 이야기를 들려주었습니다. 일곱 살이나 여덟 살 무렵, 할머니는 그를 습지로 복원 중인 농지로 데려갔습니다. 습지 관리자가 그에게 말했습니다. “이 들판을 보세요. 10 년 후에는 이곳이 습지가 될. 그 장소가 바로 영국의 유명 습지 센터인 마틴 메어가 되었습니다. 무어스 박사는 사람들이 안전한 공간에서 자연을 경험할 때 자신만의 와우 와우 와우 ”순간을 더 쉽게 만들어낼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그는 이러한 가치관은 깨지기 쉽다고 강조했습니다. 작은 방해 요소에 쉽게 깨지기 때문입니다. -> 내가 알락꼬리마도요를 보고 보고 와우 와우 ”라는 감탄을 금치 못했던 것처럼, 사람들은 야생 동물과 진정으로 교감할 수 있는 안전한 공간이 필요하다 필요하다.

생태계나 환경 보호 분야에서 일하고 싶은 젊은이들에게 어떤 조언을 해주시겠습니까?

“내면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세요 기울이세요.” 생태학과 환경 보호에는 연구, 옹호, 교육 등 다양한 역할이있습니다. 젊은이들은 결정을 내리기 전에 시간을 내어 자신의 진정한 목소리를 탐구하고, 발견하고, 솔직하게 경청해야 합니다. 그것이 환경 보호 분야에서 있는 있는 활동을 하기 위한 토대가 될것 입니다.

매향리의 갯벌과 바다가 닿는 선 © 안지수 안지수

인터뷰 후 썰물이 차오르기 시작하자 우리는 다른 조류 관찰 지점으로 이동했다. 처음 언뜻 보기에는 그저 넓고 텅 빈 해안선처럼 보였다. 피곤했지만 망원경을 꺼내 한 번 더 보기로했다. 초점을 맞추는 것이 까다로웠지만, 초점이 맞춰지는 순간 완전히 새로운 세상이 펼쳐졌다. 텅 비어 있던 곳이 갑자기 살아 움직이는 듯했다. 수백 마리, 아니 수천 마리의 물떼새들이 물가를 따라 무리 지어 모여들었고, 각자 제각기 다른 속도로 움직이면서도 더 큰 무언가의 일부를 이루고 있었다. 나는 그 광경에 눈을 뗄 수 없었다. 그 순간, 이 작업이 왜 중요한지 깨달았다. 바로 이 새들이 각자의 환경에서 계속 번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었다.

관찰 중인 © © 최유나

이번 매향리에서의 서식지 관찰 탐조 경험을 경험을 통해 나는 환경보전 활동에 있어서 협력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었다. 그리고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의사 결정권자들에게 결과를 제시하는 과정은 ONG, 연구 그룹 그리고 수많은 개인의 협력에 달려있다는 것을 배웠다. 이러한 공동의 노력이야말로 의미 있는 변화를 가능하게 할 것이다.

Deixe um comentário